Background
-
테스트 코드(Test Code)Background 2024. 2. 28. 18:47
개발에서 테스트 코드의 작성이유와 가이드라인, 여러 개념들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테스트 코드란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코드 조각이나 전체 프로그램이 의도한 대로 정확하게 작동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작성된 코드입니다. Ex) 두 숫자를 받아서 합을 반환하는 add 함수입니다.(with JEST) // add.js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module.exports = add; // add.test.js const add = require('./add'); test('adds 1 + 2 to equal 3', () => { expect(add(1, 2)).toBe(3); }); 테스트 주도 개발(Test Driven Develop..
-
Node.js란?Background 2022. 5. 14. 21:04
Node.js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Node.js 공식문서: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빈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Node.js는 이벤트 기반, 논 블로킹 I/모델을 사용해 가볍고 효율적입니다. Node.js의 패키지 생태계인 npm은 세계에서 가장 큰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 생태계이기도 합니다. 런타임이란 특정 언어로 만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합니다. 공식문서를에 적혀있는 말을 쉽게 풀어보자면 Node.js는 브라우저에서만 작동하던 JavaScript를 브라우저 밖에서도 작동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보통 백엔드에서 서버구축을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Non-blocking I/O와 단일 스..
-
let, var, const의 차이점 & 호이스팅(Hoisting)Background 2022. 4. 29. 23:51
변수 선언 시 사용되는 let, var, const의 차이점과 호이스팅(Hoisting)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let, var, const는 모두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 선언 시 사용되는 키워드입니다. var가 초기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되던 키워드이고, 해당 키워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ES6버전의 자바스크립트에 let과 const가 추가되었습니다. 이 세가지 키워드의 차이점을 1. 변수 선언 방식과 2. 재할당 가능 여부로 나누어 보겠습니다. var name = "Lee" console.log(name) // Lee var name = "Kim" console.log(name) // Kim : 먼저 var는 변수 선언 방식에 큰 단점이 ..
-
HTTPSBackground 2022. 3. 14. 00:12
HTTP프로토콜에 보안성을 더한 HTTPS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HTTPS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 layer의 약자입니다. HTTP over SSL(TLS), HTTP over Secure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HTTP프로토콜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프로토콜은 정보를 텍스트로 주고받기 때문에 인터넷상에서 전송데이터를 인터셉트 하는 경우 의도치 않는 데이터 유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HTTPS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이를 사용하면 주고받는 통신 내용이 암호화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인터셉트 하더라도 알아볼 수 없어 HTTP보다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 SS..
-
Project WorkflowBackground 2022. 2. 22. 14:51
웹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는지 정리하고 참고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각 개발 단계를 말하기에 앞서 : 각 개발 모든 단계가 프로젝트에 있어서 중요하지만, 반드시 사전에 모든 것을 계획하여 진행할 필요는 없고 고정된 순서는 없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사전에 모든 것을 완벽히 계획하더라도 기획이 바뀌거나 요구되는 기능이 바뀔 경우 다시 전 단계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론트엔드를 구상하기 전 데이터 베이스를 설계하거나, 프론트엔드 디자인이 끝난 뒤 백엔드 API를 설계하는 등 순서는 바뀔 수 있습니다. - 어떤 아이디어를 이용해 웹사이트를 만들지 구상합니다. 이 단계에서 세세한 부분을 신경 쓸 필요는 없습니다. 코드..
-
HTTPBackground 2022. 2. 10. 11:29
웹상에서 자주 쓰이는 HTTP 프로토콜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The internet is made up of a bunch of resources hosted on different servers. The term “resource” corresponds to any entity on the web, including HTML files, stylesheets, images, videos, and scripts. To access content on the internet, your browser must ask these servers for the resources it wants, and then display these resources to you. This pr..
-
Server-Side API Calls to External APIsBackground 2022. 1. 10. 19:05
Client Side가 아닌 Server Side에서 외부 서버로 API보내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Article : Consume Remote API Data From Within A Node.js Application Consume Remote API Data From Within A Node.js Application Learn how to issue requests and consume remote API data using JavaScript from within a Node.js web application. www.thepolyglotdeveloper.com Article : Consume Remote API Data From Within A Node.js Application How..
-
MVC : How to Structure your AppBackground 2022. 1. 9. 23:41
프로젝트 및 파일 구조를 잡는 방법들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MVC is short for Model, View, and Controller. MVC is a popular way of organizing your code. The big idea behind MVC is that each section of your code has a purpose, and those purposes are different. MVC gives you a starting place to translate your ideas into code, and it also makes coming back to your code easier, since you will ..